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김덕령과 주검동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김덕령이 임진왜란을 대비해서 무기를 만들고 군사를 훈련시켰다는 장소와 관련한 지명에 관한 이야기. 김덕령(金德齡)[1567~1596]이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예견하고 무등산 원효계곡 상류의 주검동(鑄劍洞)에 대장간을 세우고 칼과 창을 만들어서 군사들을 훈련시켰다는
견훤과 생용마을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마을 이름의 유래와 견훤에 관한 이야기. '견훤과 생용마을'은 생용마을에 태어난 후백제의 견훤(甄萱)[재위 892~935]과 관련된 지명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이다.2018년 1월 30일 광주광역시 북구 생용동 생용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범희인(남, 82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다,
최상현 ‘친일’ 관련 논란에 대한 서구문화원의 입장
광주 서구문화원은 지역의 역사를 정리하고 인물 자료 등을 누리집에 올려 지역 역사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이러한 자료들은 지역 역사전문가들이 쓴 책이나 광주시, 광주관광재단 등의 누리집, 그리고 수많은 문화강좌와 자료집을 정리하여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광주시 누리집, 광주관광재단 공식블로그, 광주
명암재 鳴巖齋
명암재는 광주광역시의 남구 대촌동 관할 도금 · 칠석동과 나주시 남평읍 수원리 경계에 있는 죽령산(竹嶺山 184m)에 있는 십여 질이나 되는 큰 명암바위 밑에 김형이 지은 서실이다. 서실을 짓고 '巖巖忽自鳴因以爲名' 시를 지어 바위를 읊으니 바위가 문득 스스로 울기를 수일을 하다가 그쳐
선암동 선암마을
선암仙岩마을은 송정동 영광통에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을 지나 매일유업과 호남대학교 사이의 대로변 우측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체적인 마을 형상은 마을 뒤편은 어등산이 감싸고 어등산 남록이 마치 소쿠리 모양을 이루며 마을 앞에는 황룡강이 흐른다. 그래서 배산임수의 풍수지리적인 조건을 두루 갖춘 마을이라고 할
무양사 / 무양서원
주(州)의 북쪽 20리의 거리에 위치하여 장경공(壯景公) 최사전(崔思全)을 비롯한 손암(孫菴) 최윤덕(崔允德), 가의(嘉義) 최응원(崔應遠)을 제향한 장소이다.고종 계묘년에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5인이다.- 광주읍지(1924) 무양서원 (武陽書院)은 고려 인종(재위 1122∼1146) 때 어의(御醫)이면서 명신
시정유애사 / 枾亭遺愛祠
주(州)의 서쪽 30리에 있다.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를 향사(享祀)한다.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15인인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광주읍지(1924)1754년(영조 30)에 이신의(李愼儀)의 학덕(學德)과 충절(忠節)을 추모하기 위하여 호남의 유림(儒林)이 건립(建立)하였다.1868년(고종 5)
대치사 / 大峙祠
주(州)의 북쪽 40리에 있는데 대제학(大提學) 이석지(李釋之), 직제학(直提學) 이안직(李安直), 효우당(孝友堂) 이종검(李宗儉), 충장공(忠藏公) 이보흠(李甫欽), 부제학(副提學) 이종겸(李宗謙), 주부(主簿) 이정실(李鼎實), 묵은(默隱) 이정신(李鼎新), 야은(野隱) 이정태(李鼎泰)를 향사(享祀)한다.장의(掌議) 2인, 색장(
천동사 / 泉洞祠 이민서
주(州)의 서쪽 40리 나주 경계에 있다. 두 고을이 합설하여 유애사(遺愛祠)를 만들었는데 문간공(文簡公) 이민서(李敏敍), 병산(屛山) 이관명(李觀命), 한포재(寒圃齋) 이건명(李健命), 삼산(三山) 이병상(李秉常), 송호(松湖) 유언호(兪彦鎬)를 향사(享祀)한다.장의(掌議) 1인, 색장(色掌) 1인 원생(院生) 25인이며 고종 무
운암사 / 雲岩祠
주(州)의 서쪽 15리에 있는데 해광(海狂) 송제민(宋齊民), 창랑(滄浪) 고경리(高敬履), 화암(花岩) 송타(宋柁), 석주(石州) 권필(權鞸), 별제(別提) 신필(申鞸), 도계(道溪) 신한상(申漢相)을 향사(享祀)한다. 장의(掌議) 2인, 색장(色掌) 2인, 원생(院生) 15인이며 고종 무진(戊辰, 1868)에 철폐되었다.- 광주읍지(1924)
편방사 / 片坊祠
주(州)의 동쪽 2리에 있다. 처음 경렬공(景烈公) 정지(鄭地), 설강(雪江) 유사(柳泗), 송설정(松雪亭) 고중영(高仲英), 증판서(贈判書) 전상의(全尙毅), 송암(松菴) 유평(柳坪)을 향사하다가 후에 충무공(忠武公) 정충신(鄭忠信), 구암(龜岩) 고경조(高敬祖), 시은(市隱) 유성익(柳聖翊)을 배향하였다. 장의(掌議) 2인, 색장
흥학관
흥학관은 일제 강점기 광주 청년학생들의 애국계몽 교육공간이자 독립운동 산실이었다. 그런데 일부 고령자를 제외하곤 흥학관의 존재를 아는 사람들이 드물다. 광주의 3·1운동과 학생독립운동의 근거지로 
류사경
류사경(柳思敬, 1556~?), 湖節1上-070-1, 光州, 壬辰, 高敬命同倡 -《호남절의록》(1799)류사경은 문화류씨이며 자는 덕신德新, 호는 육유당이다. 우의정을 지낸 류량의 8대손, 유혜의 아들이며 광주 이장(光州 泥場), 현 남구 양과동에서 자랐다. 문장에 뛰어났고 절개(節槪)가 있어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회재 박
노준공(盧俊恭)
노준공(1340∼1397)은 광주 출신으로 그의 후손들이 일곡동 일곡마을에 자작일촌하고 있다. 호는 심계(心溪), 시호는 절효(節孝), 본관은 광주이다. 고려 말 밀직사를 지낸 사청(士淸)의 아들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기개가 높아 학문에 열중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광주에서 최초로 효자 인물로 《동국여지승람》에
희경루 喜慶樓
1390-1453동구 객사 광산관 북쪽   * 희경루 방회도 참여인사. 이 그림 하단에 적은 발문에 앉은 자리도 언급하고 있는데 관복의 인물 가운데 오른쪽이 모임을 주관한 전라도 관찰사 강섬(52세), 가운데가 광주목사 최응룡(54세), 왼쪽 세명 가운데 앞쪽부터 정자공 임복(47세), 남효용, 유극공이다. 위쪽 세 사람은
황화루 皇華樓
동구 객사 광산관 정문   광주는 호남의 대표 도시로 자리 잡았지만 그 과정에서 조선시대 관아 건물들은 단 한 채도 보존하지 못한 안타까움이 있다. 그중에 가장 늦게 까지 남았던 관 누정으로 객사인 광산관 정문이었던 2층 누각인 황화루이다. 1870년대 초반까지 남아 있었다. 조선 초기 1483년에 지어져 약 400
회산정사 晦山精舍
광산구 비아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서쪽 25리에 있다. 회산晦山 강세영(姜世永)이 지어 지냈다. 일제강점기 초기에 지어진 정자로 보인다. 그의 친구 범원식范瑗植이 부탁해 후석 오준선(1851~1931)이 기문을 써주었다. 정자 주인 강세영의 시에 ‘비아飛鵝 학림鶴林 두 지역이 서북으로 둘러 앉고’라는 글귀로
환벽당 環碧堂
북구 환벽당길 10 (충효동)   환벽당은 사촌(沙村) 김윤제(金允悌, 1501~1572)가 노년에 자연을 벗 삼아 후학양성을 목적으로 건립한 남도지방의 전형적인 유실형 정자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동쪽 30리에 있다. 가까이에는 무등산 원효계곡의 물이 흐르며 계곡 아래 증암천甑巖川 주변에는 배롱나
호가정 浩歌亭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호가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단종 때 계유정란에 공을 세워 정란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세조 때 중추원첨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공조참판을 지낸 설강(雪江) 유사(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쪽 무이구강武夷九江의 위에 있다.
현주정 玄州亭
남구 노대동 산 56 (노대마을)   노대마을에는 현주 윤경(尹熲, 1590~1634)이 지었다는 정자가 있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남쪽 10리에 있다. 함안윤씨들은 노대마을과 대동마을에 자작일촌을 이루며 지금도 살고 있다. 남구 행암동 구남마을 광유재光裕齋 뒤에는 함양윤씨 입향조 남촌 윤지화의 묘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